본문 바로가기

미술이야기/리디아의 아트칼럼

단원 김홍도의 <주상관매도 主上觀梅圖>

반응형

[한국의 예술 9]

매년 봄이면 거리에서 다양한 꽃을 구경할 수 있다. 꽃에 붙어있는 상징은 대부분 꽃의 생태적 특성에 따른다. 매화의 상징은 지조와 절개이다. 이른 봄에 제일 먼저 꽃을 피우는 생태적 특성으로 어렵고 힘든 시기를 이겨내고 이상적 가치를 구현하고자 했던 조선 시대에 선비들의 품성과 연결해서 매화는 선비의 꽃이기도 했다. 꽃은 시대의 가치에 따라 의미도 달라진다.

단원 김홍도는 다음과 같은 시조를 지었다.



봄 물에 배를 띄워 가는 대로 놓았으니

물 아래 하늘이요 하늘 우희 물이로다.

이 중에 늙은 눈에 보이는 꽃은 안개 속인가 하노라.

이 시조와 연결해 오늘은 김홍도의 주상관매도(舟上觀梅圖)를 감상해보자.

시조의 경계가 이 그림하고 같아서 언덕 중앙 부분만 초점이 잡혀서 분명하고 주변으로 갈수록 어슴푸레하게 보이고 안개처럼 뿌여시면서 여백 속으로 형상이 사라진다. 김홍도는 또 당대에 유명하고 소문난 음악가였다.

이 그림을 자세히 보면 높은 언덕에 매화가 피어 있고, 배를 탄 노인이 종자와 더불어 매화를 바라보고 있다. 매화는 이토록 큰 그림의 상단의 윗부분에 치우쳐 있고, 노인과 종자가 탄 배는 하단 오른쪽에 치우쳐 있다. 그림 대부분은 텅 비어 있다. 그것도 가운데가 비어 있다. 가운데는 강물임이 분명하지만, 거품이나 물결조차 없으니 여백처럼 비어 있다. 그림을 이렇게도 그릴 수 있는가. 보고 있으면 마음의 평온을 준다. 가운데를 여백으로 처리함은 사물과 함께 그것을 바라보는 자기 자신까지 함께 바라본다는 것은 명상의 단계로 참 편해진다.

넘실대는 감성적인 선율과 화폭의 드넓은 여백은 이 시대에 꼭 필요한 공간이

자기 삶의 여백을 비움므로써 혹은 마치 미완성으로 보이는 듯한 과감히 생략된 빈 공간에 자신만의 언어로 자신의 마음을 담아보자.

 


반응형

'미술이야기 > 리디아의 아트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라 금관  (0) 2018.11.28
모네의 정원  (0) 2018.10.21
모딜리아니가 사랑한 여인  (0) 2018.08.29
앙리 마티스 <폴리네시아, 하늘>  (0) 2018.08.22
바실리 칸딘스키'노랑, 빨강, 파랑'  (0) 2018.08.15